I googled it : 어원에 대한 뜬금없는 잡설

구글코리아가 서비스하는 한국유투브에 대한 신문기사를 보고서는 문득 구글의 회장인 에릭슈미트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

표현의 자유를 주장하는 구글 그리고 CEO인 에릭슈미트에 대해 이런저런 기사를 검색하던 중 재미있는 것을 발견했다.

바로 'I googled it '이라는 표현!! 미국 영어구어에서 google이 검색한다는 의미의 동사로 사용된다는 신문기사였다. 오 재미있군 한국식으로 하면 구글한다가 검색한다와 동일시된다는 말인데, 영어권 국가에서의 구글의 파워를 새삼느끼며, 한국에서도 '네이버한다' '지식인하다' 같은 신조어가 나오지 않은 것에 의아함을 느낀다. (나왔는데 나만 모르는건가..?)

세계 인터넷의 선도자인 ㅋㅋㅋ 한국이 신조어에서 뒤지다니!! 뒤지든지 말든지이지만..
모든 단어의 어원은 마치 구글이 그러했던 것처럼 구체적인 사실이나 물건이 추상적인 의미를 상징하게 된 데서 기인하는 바가 많을 듯하다.

그럼 '밥을 먹다.' '바지를 먹다.'와 같이 쓰이는 '먹다'의 기원은 무엇일까? 하는 뜬금없는 의문!! 형태소를 분석해볼 때, '먹'이라는 어간에 동사형 접미사인 '다'가 붙어있는데 그럼 먹은 뭐지? 구글의 예에서 볼 때, 고대 한민족이 주로 '먹'었던 것이 '먹'이 아닐가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한글이 탄생한 조선 초에 형성된 말은 아닐것이라는 생각이든다. 그 때에도 문자는 없더라도 구어로는 '먹'을 사용했었으니... 고대의 식물이나 동물 중에 한민족의 주식이었던 무엇인가를 '먹'이라고 칭했을 것임을 추측해볼 수 있다.

이 문제는 일단 그만!! 난 언어학자가 아니다. 더 생각하면 골아프다.



먹다에 대해 생각하다보니 생각나는 '짜장면' 우리나라 표준어는 '자장면'이라지만.. 모든 국민들이 '짜장면'이라고 칭하고 일부 교양있는 척하는 인물들이나 '자장면'이라고 부르는 이 음식의 표준어는 왜 '자장면'일까?

난 아나운서가 자장면 운운할 떄마다,,,, 그냥 좀 그렇다.

꼭 그렇게 어색하게 말해야해? 내가 아나운서라면 자장면이라고 말해놓고도 입이 간질간질 하겠다. 자장면이라고 발음하다가 방송중에 벌떡 일어나서 짜장면!! 이라고 외치고 싶은 정도일듯

자장면이란 발음에 대한 거부감 때문인지 표준어 자체에 대한 거부감이 문득 마음한구석에서 무럭무럭 자라난다. '현대 서울의 교양있는 분들이 쓰는 말' 인 표준어!!
난 그냥 교양없을란다.
◀ PREV 1 NEXT ▶